spring boot
-
로깅, 테스트, Devtools (스프링 부트 활용 - 4)Programming/Spring Boot 2020. 3. 9. 20:01
1. 로깅 - 로깅 퍼사드 vs 로거 Commons Logging, SLF4j / JUL, Log4J2, Logback 로깅 퍼사드는 실제 로깅을 하는 것이 아니라 로거 기능을 추상화한 인터페이스임 로깅 퍼사드의 장점 : 로깅 퍼사드 밑의 로거를 바꾸어 낄 수 있음 -> 주로 프레임워크는 퍼사드를 이용해 개발함 만약 어떤 프레임워크에서 특정 로거를 쓴다면, 해당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로거를 사용해야 함 기존에는 콘솔 출력만 하는데, 다음 설정으로 로그 파일 저장 가능 // 둘 중 하나만 설정 logging.path=logs// 디렉토리 설정 logging.file=logfile// 파일 설정 로그 파일은 10MB 마다 롤링이 되고 나머지는 아카이브가 됨. - 로그로 남기기 pri..
-
외부 설정과 프로파일 (스프링 부트 활용 - 3)Programming/Spring Boot 2020. 3. 9. 17:18
1. 외부 설정 테스트를 실행할 때 먼저 실제 코드에 있는 것들을 클래스 패스(main/java, main/resources 디렉토리)로 등록하고 빌드, 이후 테스트 코드 부분이 등록(test/java, test/resources)되고 빌드됨 따라서, 테스트 application.properties 에 사용하고자 하는 것이 없으면 에러남 -> 1. 테스트 코드의 application.properties에 없는 것들 추가하기 2. 테스트 코드의 application.properties 삭제하기 3. 이름을 마음대로 지정하고(test.properties), 소스코드 내에서 등록하기 @TestPropertySource(locations = "classpath:/test.properties") - 프로퍼티 우선..
-
내장 웹 서버와 응용 (스프링 부트 원리 - 2)Programming/Spring Boot 2020. 3. 8. 20:29
1. 내장 웹 서버 이해 Spring Boot는 서버가 아니다! 내장 Servlet 컨테이너(톰켓)를 쉽게 사용해 줄 수 있는 툴! 톰켓, 제티, 네티, 언더토우 등이 서버임 톰켓이 만들어지고 실행되는 것도 자동 설정의 일부임 (서블릿 컨테이너를 만들고 서블릿을 등록하는 일이 나누어져 실행됨) 2. 컨테이너와 서버 포트 -다른 서블릿 컨테이너(제티)로 변경 org.springframework.boot spring-boot-starter-web org.springframework.boot spring-boot-starter-tomcat org.springframework.boot spring-boot-starter-jetty - 프로퍼티 설정으로 웹 서버 사용 유무, 포트 변경가능(server.port) ..
-
스프링 IoC 컨테이너와 빈 (스프링 핵심 기술 - 1)Programming/Spring Framework 주요 개념 2020. 3. 4. 01:16
1.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디자인 철학 - 모든 선택은 개발자의 몫 (특정 기술을 강요하지 않음) - 다양한 관점을 지향한다 (유연성) - 하위 호환성을 지킨다 (노력) - API를 신중하게 설계한다 (공들인다) - 높은 수준의 코드를 지향한다 2. IoC (Inversion of Control) - 의존 관계 주입(Dependency Injection)이라고도 하며, 어떤 객체가 사용하는 의존 객체를 직접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, 주입 받아 사용하는 방법을 말한다. - 가장 핵심이되는 최상위 인터페이스는 BeanFactory. 이의 하위 인터페이스는 ApplicationContext (BeanFactory + 다양한 기능이 추가됨) 3. 빈(Bean) - IoC 컨테이너가 관리하는 객체 - 빈으로 ..